법령상세보기설정

학교보건법

연혁목록 펼치기 (전체 39건)
타법개정 2017-07-26 법률 제14839호(정부조직법) 개정문
타법개정 2017-01-17 법률 제14532호(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개정문
일부개정 2016-12-20 법률 제14402호 개정문
일부개정 2016-03-02 법률 제14055호 개정문
일부개정 2016-02-03 법률 제13946호 개정문
타법개정 2016-01-27 법률 제13879호(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개정문
일부개정 2013-12-30 법률 제12131호 개정문
타법개정 2013-03-23 법률 제11690호(정부조직법) 개정문
일부개정 2012-03-21 법률 제11386호 개정문
타법개정 2012-03-21 법률 제11384호(초ㆍ중등교육법) 개정문
일부개정 2012-01-26 법률 제11220호 개정문
타법개정 2011-12-31 법률 제11141호(국민건강보험법) 개정문
타법개정 2011-09-15 법률 제11048호(청소년보호법) 개정문
일부개정 2010-01-18 법률 제9932호(정부조직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9-12-29 법률 제9847호(전염병예방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9-06-09 법률 제9770호(소음ㆍ진동규제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8-03-21 법률 제8912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8-02-29 법률 제8852호(정부조직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7-12-14 법률 제8678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7-08-03 법률 제8578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7-05-17 법률 제8466호(수질환경보전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7-04-27 법률 제8391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7-04-11 법률 제8366호(의료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5-12-29 법률 제7799호(청소년기본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5-12-07 법률 제7700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5-03-24 법률 제7396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4-02-09 법률제7170호(악취방지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4-01-29 법률제7120호(유아교육법) 개정문
일부개정 2002-08-26 법률제6716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1-01-29 법률제6400호 개정문
일부개정 2000-01-28 법률제6218호 개정문
일부개정 1998-12-31 법률제5618호 개정문
일부개정 1997-12-13 법률제5454호 개정문
일부개정 1995-12-29 법률제5069호 개정문
일부개정 1991-03-08 법률제4349호 개정문
일부개정 1990-12-27 법률제4268호 개정문
일부개정 1981-02-28 법률제3374호 개정문
일부개정 1977-07-23 법률제3006호 개정문
제정 1967-03-30 법률제1928호 개정문
소관부처
교육부
제1조(목적) 이 법은 학교의 보건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6ㆍ2ㆍ3> [전문개정 2007·12·14]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08·3·21, 2012.1.26, 2012ㆍ3ㆍ21 법11384, 2016ㆍ2ㆍ3>
1. "건강검사"란 신체의 발달상황 및 능력, 정신건강 상태, 생활습관, 질병의 유무 등에 대하여 조사하거나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3. 삭제 <2016ㆍ2ㆍ3> [전문개정 2007·12·14]
제2조의2(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고, 이에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7·12·14]
제3조(보건시설) 학교의 설립자·경영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건실을 설치하고 학교보건에 필요한 시설과 기구(기구)를 갖추어야 한다.[전문개정 2007·12·14]
제4조(학교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
① 학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교사(교사) 안에서의 환기·채광·조명·온도·습도의 조절, 상하수도·화장실의 설치 및 관리, 오염공기·석면·폐기물·소음·휘발성유기화합물·세균·먼지 등의 예방 및 처리 등 환경위생과 식기·식품·먹는 물의 관리 등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관리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②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라 교사 안에서의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점검하고, 그 결과를 기록·보존 및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③ 학교의 장은 제2항에 따른 점검에 관한 업무를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 제16조에 따른 측정대행업자에게 위탁하거나 교육감에게 전문인력 등의 지원을 요청하여 수행할 수있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④ 학교의 장은 제2항과 제3항에 따른 점검 결과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지 아니한 경우에는 시설의 보완 등 필요한 조치를 하고 이를 교육부장관 및 교육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2016ㆍ3ㆍ2>
⑤ 교육부장관이나 교육감은 제1항에 따른 환경위생과 식품위생을 적절히 유지·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관계 공무원에게 학교에 출입하여 제2항에 따른 점검을 하거나 점검 결과의 기록 등을 확인하게 할 수 있으며, 개선이 필요한 경우에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⑥ 학교의 장은 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환경위생 및 식품위생 점검 결과 및 보완 조치를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개하여야 한다. <신설 2016ㆍ3ㆍ2> [전문개정 2007·12·14]
제5조 삭제 <2016ㆍ2ㆍ3>
제6조 삭제 <2016ㆍ2ㆍ3>
제6조의2 삭제 <2016ㆍ2ㆍ3>
제6조의3 삭제 <2016ㆍ2ㆍ3>
제7조(건강검사 등)
① 학교의 장은 학생과 교직원에 대하여 건강검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교직원에 대한 건강검사는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에 따른 건강검진으로 갈음할 수 있다. <개정 2011.12.31>
② 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라 건강검사를 할 때에 질병의 유무 등을 조사하거나 검사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학생에 대하여는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에 따른 건강검진 실시 기관에 의뢰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대한 건강검사를 한다. <개정 2008·2·29, 2011.12.31, 2012ㆍ3ㆍ21 법11384, 2013ㆍ3ㆍ23>
1.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1호의 학교와 이에 준하는 특수학교·각종학교의 1학년 및 4학년 학생. 다만, 구강검진은 전 학년에 대하여 실시하되, 그 방법과 비용 등에 관한 사항은 지역실정에 따라 교육감이 정한다.
2.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2호·제3호의 학교와 이에 준하는 특수학교·각종학교의 1학년 학생
3. 그 밖에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학생
③ 학교의 장은 제2항에 따른 건강검사 외에 학생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학생을 별도로 검사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④ 학교의 장은 제1항과 제2항에도 불구하고 천재지변 등 부득이한 사유로 관할 교육감 또는 교육장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건강검사를 연기하거나 건강검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⑤ 제2항에 따라 건강검사를 한 검진기관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그 검사결과를 해당 학생 또는 학부모와 해당 학교의 장에게 알려야 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⑥ 학교의 장은 제2조제1호의 정신건강 상태 검사를 실시함에 있어 필요한 경우에는 학부모의 동의없이 실시할 수있다. 이 경우 학교의 장은 지체 없이 해당 학부모에게 검사 사실을 통보하여야 한다. <신설 2012ㆍ3ㆍ21 법11386, 2016ㆍ3ㆍ2>
⑦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건강검사의 시기, 방법, 검사항목 및 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교육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전문개정 2007·12·14]
제7조의2(학생건강증진계획의 수립ㆍ시행)
① 교육감은 학생의 신체 및 정신 건강증진을 위한 학생건강증진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신설 2013ㆍ12ㆍ30>
② 제1항에 따른 계획에는 제11조에 따른 학교의 장의 조치를 행정적 또는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포함하여야 한다. <신설 2013ㆍ12ㆍ30>
③ 학교의 장은 제7조에 따른 건강검사의 결과를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학생건강증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개정 2013ㆍ12ㆍ30>
④ 학교의 장은 제3항에 따라 건강검사의 결과를 평가하고, 학생정신건강증진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15조제1항에 따른 학교의사 또는 학교약사에게 자문을 할 수 있다. <개정 2013ㆍ12ㆍ30> [전문개정 2007·12·14]
제7조의3(건강검사기록)
① 학교의 장은 제7조에 따라 건강검사를 하였을 때에는 그 결과를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작성·관리하여야 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② 학교의 장이 제1항에 따라 건강검사 결과를 작성·관리할 때에 「초·중등교육법」 제30조의4에 따른 교육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자료는 다음과 같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1. 인적사항
2. 신체의 발달상황 및 능력
3. 그 밖에 교육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서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③ 학교의 장은 소속 학교의 학생이 전출하거나 고등학교까지의 상급학교에 진학할 때에는 그 학교의 장에게 제1항에 따른 자료를 넘겨 주어야 한다. [전문개정 2007·12·14]
제8조(등교 중지) 학교의 장은 제7조에 따른 건강검사의 결과나 의사의 진단 결과 감염병에 감염되었거나,감염된 것으로 의심되거나, 감염될 우려가 있는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등교를 중지시킬 수 있다. <개정 2009·12·29> [전문개정 2007·12·14]
제9조(학생의 보건관리) 학교의 장은 학생의 신체발달 및 체력증진, 질병의 치료와 예방, 음주·흡연과 약물 오용(오용)·남용(남용)의 예방, 성교육, 정신건강 증진 등을 위하여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개정 2008·3·21, 2012.1.26> [전문개정 2007·12·14]
제9조의2(보건교육 등)
① 교육부장관은 「유아교육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유치원 및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을 포함한 보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건교육의 실시 시간, 도서 등 그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교육부장관이 정한다. <개정 2008·2·29, 2013ㆍ3ㆍ23, 2013ㆍ12ㆍ30, 2016ㆍ12ㆍ20>
② 「유아교육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유치원의 장 및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의 장은 교육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년 교직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신설 2013ㆍ12ㆍ30, 2016ㆍ12ㆍ20>
③ 「유아교육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유치원의 장 및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의 장은 제2항에 따른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과 연관된 프로그램의 운영 등을 관련 전문기관ㆍ단체 또는 전문가에게 위탁할 수 있다. <신설 2016ㆍ12ㆍ20> [본조신설 2007·12·14]
제10조(예방접종 완료 여부의 검사)
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장은 학생이 새로 입학한 날부터 90일 이내에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자치구의 구청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에게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에 따른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같은 법 제24조제25조에 따른 예방접종을 모두 받았는지를 검사한 후 이를 교육정보시스템에 기록하여야 한다. <개정 2009·12·29, 2016ㆍ2ㆍ3>
②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장은 제1항에 따른 검사결과 예방접종을 모두 받지 못한 입학생에게는 필요한 예방접종을 받도록 지도하여야 하며, 필요하면 관할 보건소장에게 예방접종 지원 등의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전문개정 2007·12·14]
제11조(치료 및 예방조치 등)
① 학교의 장은 제7조에 따른 건강검사의 결과 질병에 감염되었거나 감염될 우려가 있는 학생에 대하여 질병의 치료 및 예방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학교의 장은 제7조제1항에 따라 학생에 대하여 제2조제1호의 정신건강 상태를 검사한 결과 필요하면 학생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신설 2013ㆍ12ㆍ30>
1. 학생ㆍ학부모ㆍ교직원에 대한 정신건강 증진 및 이해 교육
2. 해당 학생에 대한 상담 및 관리
3. 해당 학생에 대한 전문상담기관 또는 의료기관 연계
4. 그 밖에 학생 정신건강 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
③ 교육감은 검사비, 치료비 등 제2항 각 호의 조치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신설 2013ㆍ12ㆍ30>
④ 학교의 장은 제1항 및 제2항의 조치를 위하여 필요하면 보건소장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으며 보건소장은 정당한 이유 없이 이를 거부할 수 없다. <개정 2013ㆍ12ㆍ30> [전문개정 2007·12·14]
제12조(학생의 안전관리) 학교의 장은 학생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시설·장비의 점검 및 개선, 학생에 대한 안전교육,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7·12·14]
제13조(교직원의 보건관리) 학교의 장은 제7조제1항에 따른 건강검사 결과 필요하거나 건강검사를 갈음하는 건강검진의 결과 필요하면 교직원에 대하여 질병 치료와 근무여건 개선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07·12·14]
제14조(질병의 예방) 감독청의 장은 감염병 예방과 학교의 보건에 필요하면 해당 학교의 휴업 또는 휴교(휴원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를 명할 수 있으며, 학교의 장은 필요할 때에 휴업할 수 있다. <개정 2009·12·29, 2016ㆍ3ㆍ2> [전문개정 2007·12·14]
제14조의2(감염병 예방접종의 시행)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4조제25조에 따라 학교의 학생 또는 교직원에게 감염병의 정기 또는 임시 예방접종을 할 때에는 그 학교의 학교의사 또는 보건교사(간호사 면허를 가진 보건교사로 한정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를 접종요원으로 위촉하여 그들로 하여금 접종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건교사에 대하여는 「의료법」 제27조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개정 2009·12·29> [전문개정 2007·12·14]
제14조의3(감염병예방대책의 마련 등)
① 교육부장관은 감염병으로부터 학생과 교직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대책(이하 "감염병예방대책"이라 한다)을 마련하여야 한다. 이 경우 행정안전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개정 2017ㆍ7ㆍ26>
1. 감염병의 예방ㆍ관리 및 후속조치에 관한 사항
2. 감염병 대응 관련 매뉴얼에 관한 사항
3. 감염병과 관련한 학교의 보건ㆍ위생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감염병과 관련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② 교육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감염병예방대책을 마련한 때에는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ㆍ특별자치도지사, 교육감 및 학교에 알려야 한다.
③ 교육감은 교육부장관의 감염병예방대책을 토대로 지역 실정에 맞는 감염병 예방 세부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④ 교육부장관과 보건복지부장관은 학교에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감염병 발생 현황에 관한 정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보(이하 "감염병정보"라 한다)를 공유하여야 한다.
⑤ 학교의 장은 해당 학교에 감염병에 걸렸거나 의심이 되는 학생 및 교직원이 있는 경우 즉시 교육감을 경유하여 교육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⑥ 교육부장관은 제4항에 따른 공유를 하였거나 제5항에 따른 보고를 받은 경우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염병정보를 신속히 공개하여야 한다.
⑦ 제4항부터 제6항까지에 따른 공유, 보고 및 공개의 방법과 절차는 교육부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6ㆍ3ㆍ2]
제14조의4(감염병대응매뉴얼의 작성 등)
① 교육부장관은 학교에서 감염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보건복지부장관과의 협의를 거쳐 감염병 유형에 따른 대응 매뉴얼(이하 "감염병대응매뉴얼"이라 한다)을 작성ㆍ배포하여야 한다.
② 감염병대응매뉴얼의 작성ㆍ배포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본조신설 2016ㆍ3ㆍ2]
제15조(학교에 두는 의료인ㆍ약사 및 보건교사)
① 학교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과 교직원의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의료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인과 「약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약사를 둘 수 있다. <개정 2012.1.26>
② 모든 학교에 제9조의2에 따른 보건교육과 학생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둔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하의 학교에는 순회 보건교사를 둘 수 있다. [전문개정 2007·12·14]
제16조(보건기구의 설치 등) 교육감 및 교육장 소속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학교의 보건 관리에 필요한 기구(기구)와 공무원을 둘 수 있다. [전문개정 2007·12·14]
제17조(학교보건위원회)
① 제2조의2에 따른 기본계획 및 학교보건의 중요시책을 심의하기 위하여 교육감 소속으로 시ㆍ도학교보건위원회를 둔다. <개정 2008·2·29, 2012.1.26>
② 시ㆍ도학교보건위원회는 학교의 보건에 경험이 있는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개정 2012.1.26>
③ 시ㆍ도학교보건위원회의 기능·운영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2.1.26>[전문개정 2007·12·14]
제18조(경비 보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제7조제1항에 따른 건강검사에 드는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한다. [전문개정 2007·12·14]
제18조의2(비밀누설금지 등) 이 법에 따라 교직원 및 학생에 대한 건강검사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거나 수행하였던 자는 그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거나 직무상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조신설 2013ㆍ12ㆍ30]
제19조(벌칙)
① 제18조의2를 위반하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다른 사람에게 누설하거나 직무상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신설 2013ㆍ12ㆍ30>
② 삭제 <2016ㆍ2ㆍ3> [전문개정 2007·12·14]
제20조 삭제 <98·12·31>

부 칙

이 법은 공포후 90일이 경과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칙 <77·7·23>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칙 <81·2·28>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부칙 <90·12·27>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내지 제10조 생략

부칙 <91·3·8>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95·12·29>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1996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내지 제4조 생략

부칙 <97·12·13>

이 법은 199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부칙 <98·12·31>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0·1·28>

이 법은 2005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1·1·29 법6400>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내지 제4조 생략

부칙 <2002ㆍ8ㆍ26 법6716>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유효기간) 제6조제1항제5호의 개정규정은 2004년 12월 31일까지 효력을 가진다.
③(정화구역 설정에 관한 특례) 종전의 출입국관리법(법률 제575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9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 등록한 외국인단체가 2002년 12월 31일까지 초ㆍ중등교육법 제60조의2의 규정에 의한 외국인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은 경우에는 제5조제1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부칙 <2004ㆍ1ㆍ29 법7120>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내지 제7조 생략
제8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내지 ⑥생략
⑦학교보건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2호중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1호”를 “유아교육법 제2조제2호”로 한다.
⑧내지 ⑪생략
제9조 생략

부칙 <2004·2·9 법7170>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생략
제3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및 ② 생략
③학교보건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호중 “대기환경보전법 및 수질환경보전법”을 “대기환경보전법ㆍ악취방지법 및 수질환경보전법”으로 한다.
④이하 생략
제4조 생략

부칙 <2005ㆍ3ㆍ24 법7396>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조제1호ㆍ제2조의2ㆍ제4조ㆍ제7조ㆍ제7조의2ㆍ제7조의3ㆍ제8조ㆍ제11조제1항ㆍ제13조 및 제17조의 개정규정과 제18조의 개정규정 중 “건강검사”부분은 2006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경륜장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안에 설치된 시설로서 제6조제1항제13호의 개정규정에 해당하는 시설은 2009년 12월 31일까지 이전 또는 폐쇄하여야 한다. 다만, 2005년 12월 31일까지 제6조제1항 단서의 규정에 따라 교육감 또는 교육감이 위임한 자의 인정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신체검사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른 신체검사는 제7조의 개정규정에 따른 건강검사로 본다.

부칙 <2005ㆍ12ㆍ7 법7700>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납골시설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안에 이미 설치된 납골시설에 대하여는 제6조제1항제3호의 개정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부칙 <2005ㆍ12ㆍ29 법7799>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3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생략
제3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내지 ⑧ 생략
⑨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4호 중 “청소년위원회”를 “국가청소년위원회”로 한다.
⑩이하 생략
제4조 생략

부칙 <2007ㆍ4ㆍ11 법8366>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부터 제19조까지 생략
제20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⑮까지 생략
<16>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4조의2 후단 중 "의료법 제25조제1항"을 "「의료법」 제27조제1항"으로 한다.
<17>생략
제21조 생략

부칙 <2007ㆍ4ㆍ27 법8391>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기존 학교설립예정지에 대한 정화구역의 설정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0조에 따라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되어 고시된 학교용지와 「유아교육법」 제8조 및 「초·중등교육법」 제4조에 따라 유치원 및 특수학교를 설립하기 위하여 확보된 용지(사립의 경우에는 설립인가를 받은 용지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이 법 시행 후 30일 이내에 제5조제1항의 개정규정에 따른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을 설정·고시하여야 한다.
③(기존 시설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학교설립예정지의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 안에 설치된 시설로서 제6조제1항제1호부터 제15호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시설은 해당 학교의 개교일 전까지 이전하거나 폐쇄하여야 한다. 다만, 제6조제1항단서에 따라 교육감 또는 교육감이 위임한 자의 인정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며, 학교의 개교일 전까지 이전하거나 폐쇄하기가 현저히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시설이 있을 때에는 그 학교의 개교일부터 5년의 범위 내에서 교육감이 별도의 계획을 수립하여 이전 또는 폐쇄하게 할 수 있다.

부칙 < 2007ㆍ5ㆍ17 법8466>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및 제3조 생략
제4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45>까지 생략
<46>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호 중 ”수질환경보전법”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로 한다.
<47>이하 항 생략
제5조 생략

부칙 <2007ㆍ8ㆍ3 법8578>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기존 시설 등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당시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안에 설치된 시설로서 제6조제1항제13호의3에 해당하는 게임물시설은 이 법 시행과 같이 이전하거나 폐쇄하여야 한다. 다만, 제6조제1항 단서에 따라 교육감 또는 교육감이 위임한 자의 인정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부칙 <2007ㆍ12ㆍ14 법8678>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조, 제4조, 제5조, 제6조제3항, 제6조의2 및 제19조의 개정규정은 2008년 4월 28일부터, 제6조제1항 및 제6조의3의 개정규정은 2008년 8월 4일부터, 제9조의2 및 제15조제2항의 개정규정은 2009년 3월 1일부터 각각 시행한다.

부칙 <2008ㆍ2ㆍ29 법8852>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 부터 제5조 까지 생략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105>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 중 “교육인적자원부령”을 각각 “교육과학기술부령”으로 하고, 같은 조 제5항 중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을 “교육과학기술부장관”으로 한다.
제7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같은 항 제3호, 제7조제3항부터 제6항까지, 제7조의3제1항·제2항제3호 중 “교육인적자원부령”을 각각 “교육과학기술부령”으로 한다.
제9조의2 전단 및 후단, 제17조제1항 중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을 각각 “교육과학기술부장관”으로 한다.
제7조 생략

부칙 <2008·3·21 법8912>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조제3호나목의 개정규정은 2008년 4월 28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09ㆍ6ㆍ9 법9770>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10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단서생략
제2조 부터 제5조 까지 생략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35> 까지 생략
<36>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호 중 “「소음ㆍ진동규제법」”을 “「소음ㆍ진동관리법」”으로 한다.
<37>이하 생략
제7조 생략

부칙 <2009ㆍ12ㆍ29 법9847>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부터 제20조 까지 생략
제21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25> 까지 생략
<26>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9호 및 제10호를 각각 다음과 같이 한다.
9. 감염병원, 감염병격리병사, 격리소
10. 감염병요양소, 진료소
제8조 중 “전염병”을 “감염병”으로 한다.
제10조제1항 중 “「전염병예방법」 제20조에 따른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같은 법 제11조 및 제12조”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에 따른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받아 같은 법 제24조 및 제25조”로 한다.
제14조 중 “전염병”을 “감염병”으로 한다.
제14조의2의 제목 중 “전염병”을 “감염병”으로 하고, 같은 조 전단 중 “「전염병예방법」 제11조 및 제12조”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4조 및 제25조”로, “전염병의”를 “감염병의”로 한다.
<27>이하 생략
제22조 생략

부칙 <2010ㆍ1ㆍ18 법9932>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2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생략
제2조 및 제3조 생략
제4조 (다른 법률의 개정)
<125>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9호 중 “국가청소년위원회가”를 “여성가족부장관이”로 한다.
제5조 생략

부칙 <2011.9.15 법11048>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6조제1항의 개정규정에 따른 인터넷게임 중 심각한 인터넷게임 중독의 우려가 없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기를 이용한 인터넷게임에 대한 심야시간대 제공시간 제한에 관한 부분은 2013년 5월 20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제3조(생략)
제4조(다른 법률의 개정) <17> 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9호 중 “「청소년보호법」 제2조제5호가목(5)”를 “「청소년 보호법」 제2조제5호가목7)”으로, “같은 호 가목(6) 및 같은 호 나목(7)”을 “같은 호 가목8) 및 같은 호 나목7)”으로 한다.
[이하 생략]

부칙 <2011.12.31 법11141>

제1조(시행일) 이 법은 201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유효기간)부터 제20조 까지 생략
제21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부터 <26> 까지 생략
<27> 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1항 단서 및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중 “「국민건강보험법」 제47조”를 각각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로 한다.
<28>생략
제22조 생략

부칙<2012.1.26 법11220>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조제3호나목, 제6조제3항 및 제6조의3제2항의 개정규정은 2012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개정 2012ㆍ3ㆍ21>

부칙 <2012ㆍ3ㆍ21 법11384>

제1조(시행일)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단서 생략
제2조(다른 법률의 개정)①부터 ④생략
⑤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3호다목 중“「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5호”를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4호”로 한다.
제7조제2항제1호 본문 중“「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2호”를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1호”로 한다.
제7조제2항제2호 중“「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3호ㆍ제4호”를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제2호ㆍ 제3호”로 한다.

부칙 <2012ㆍ3ㆍ21 법11386>

이법은 2012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3ㆍ3ㆍ23 법11690>

제1조(시행일) ①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생략
제2조 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부터 <73>까지 생략
<74> 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부터 제4항까지, 제7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항 제3호, 같은 조 제3항ㆍ제4항ㆍ제5항ㆍ제7항 및 제7조의3제1항, 같은 조 제2항제3호 중 “교육과학기술부령”을 각각 “교육부령”으로 한다.
제4조제5항 및 제9조의2 전단ㆍ후단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각각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75> 이하 생략
제7조 생략

부칙 <2013ㆍ12ㆍ30 법12131>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9조의2, 제18조의2 및 제19조제1항의 개정규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2016·1·27 법13879>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생략
제2조부터 제11조까지 생략
제11조(벌칙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하여 벌칙을 적용할 때에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제12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⑭까지 생략
<15> 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7호 중 "폐수종말처리시설"을 "공공폐수처리시설"로 한다.
<16> 이하 생략

부칙 <2016ㆍ2ㆍ3 법13946>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벌칙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 시행 전의 행위에 대하여 벌칙을 적용할 때에는 종전의 규정에 따른다.

부칙 <2016ㆍ3ㆍ2 법14055>

이 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7조제6항의 개정규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6ㆍ12ㆍ20 법14402>

이 법은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2017ㆍ1ㆍ17 법14532>

제1조(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6조에 따라 개정되는 법률 중 이 법 시행 전에 공포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한 법률을 개정한 부분은 각각 해당 법률의 시행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부터 제5조까지 생략
제6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부터 <75>까지 생략
<76> 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제1호 중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을 "「물환경보전법」"으로 한다.
<77> 이하 생략
제7조 생략

부칙 <2017ㆍ7ㆍ26 법14839>

제1조(시행일) ① 이 법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제2조부터 제4조까지 생략
제5조(다른 법률의 개정) ① 부터 <18> 생략
<19> 학교보건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4조의3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후단 중 "보건복지부장관 및 국민안전처장관"을 "행정안전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으로 한다.
<20>이하 생략
제6조 생략